티스토리 뷰

반응형

 

 

 K-패스 카드가 곧 출시됩니다! 이 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모든 분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할 것입니다. 서민과 청년층의 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고 정기적인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 마련된 국토교통부의 정책입니다. 이 글에서는 K-패스 카드의 특징과 혜택 그리고 이 카드를 어떻게 발급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K-패스 카드란?

 

K-패스 카드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(시내·마을버스, 지하철, 광역버스, GTX 대상)을 이용할 경우 지출금액의 일정비율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. 일반인은 20%, 청년층은 30%, 저소득층은 53%의 비율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👉시외(고속, 공항) 버스, KTX, SRT 등 발권을 받아서 탑승을 해야 하는 교통수단은 K-패스 카드 혜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 

 

환급액은 다음 달에 이용자에게 현금, 마일리지, 카드공제 등의 방법으로 직접 환급됩니다.  

 

 

 

K-패스 카드와 알뜰 교통 카드 비교

 

마일리지로 환급받던 알뜰교통카드의 경우 마일리지 지급구조가 어렵기에 이용자들의 이용이 불편하다는 지적이 많아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케이패스 (K-PASS)를 출시하였습니다.

 

 

 

 

K-패스 카드 발급 방법

 

K-패스 카드는 4월 24일부터 발급이 시작되며, 5월 1일부터 혜택이 적용됩니다. K-패스 카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알뜰교통카드 회원 전환 또는 K-패스 신규 회원가입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.

 

✅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이용 중인 이용자는 추가 카드 발급이나 회원 가입 없이 알뜰카드 앱 또는 누리집(alcard.kr)에서 간단한 회원 전환 절차(알뜰카드 → K-패스)를 거쳐 계속해서 K-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5월 이후에도 알뜰교통카드 누리집을 통해 6.30일까지 회원 전환 가능합니다.

 

 

 

 

신규 가입자는 5월 1일 출시되는 K-패스 앱 또는 누리집(korea-pass.kr)에서 신규 회원가입 절차를 거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K-패스 카드 신규 발급자도 4.24~4.30일 간 알뜰교통카드에 회원가입 후 회원 전환을 거쳐 알뜰교통카드 혜택과 K-패스 혜택을 모두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주의사항

 

회원 전환 절차나 신규 회원가입 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카드를 발급받아도 K-패스 혜택이 바로 적용되지 않습니다. K-패스 혜택은 회원 전환 또는 신규 회원가입을 한 날부터 적용됩니다.

 

 

K-패스 카드는 대중교통 이용자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 이 카드를 통해 교통비 부담을 한층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. 카드 발급 신청 및 자세한 사항은 각 카드사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K-패스 카드를 통한 대중교통의 새로운 혁신을 기대해 봅니다!

반응형